좋은 것을 넘어 위대하게 세계와 경쟁하는 동아화성으로 거듭납니다.
조회 1,026
관리자 2014-09-27 00:00
LG그룹이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부품의 수직계열화를 구축했다. LG전자(인포테인먼트), LG이노텍(모터), LG화학(배터리), LG하우시스(원단)로 이어지는 제조역량은 향후 전기차용 부품소재 시장에서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룹의 맏형인 LG전자는 공식적으로 완성차 제조 가능성을 부인한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구본준 부회장의 결단만 남았다”며 “그룹 내에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은 충분히 갖췄다”고 평가한다.
LG가 전기차 시대에 부품업체에서 벗어나 ‘LG표 전기차’를 시장에 내놓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 9부 능선 넘은 LG표 전기차…핵심 부품은 다 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과 구본무 LG전자 부회장은 이달 22일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인도 완성차 회사인 타타그룹 경영진과 만났다. 양측은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타타가 만드는 전기차에 LG가 만드는 부품소재가 들어갈 가능성이 점쳐진다.
타타가 직접 LG를 찾아온 것은 LG가 차량 설계와 생산 공정, 모터 제어장치, 충전소 시스템 등 전기차 제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LG전자는 지난해 7월 자동차부품(VC) 사업본부를 신설했다. 대우자동차 출신 이우종 사장을 중심으로 자동차 설계 전문 회사(V-ENS)까지 흡수하면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엔지니어링, 모터 등의 제조역량을 갖췄다. 특히, LG전자는 전기차 차체용 프레임 특허도 출원했다.